국내주식 기업분석

바이오비쥬 주가, 바이오비쥬 공모가, 신규공모주

투자솔루션 2025. 5. 20. 11:06
반응형

바이오비쥬는 2018년 설립된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 기업으로, 의료기기와 화장품을 중심으로 한 제조 및 수출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2025년 5월 20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으며, 청담글로벌그룹의 계열사로서 글로벌 뷰티·바이오 산업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기업 개요 및 성장 배경

  • 설립 연도: 2018년 7월 (초기 사명: 제이제이메디컬)
  • 대표자: 양준호
  • 본사 위치: 경기도 하남시 하남대로 947, 하남테크노밸리 U1센터 A동 1516호
  • 계열사: 청담글로벌그룹 (청담글로벌, 바이슈코, 아이돌스토어 등)
  • 주요 사업: 의료기기 및 화장품 제조·수출, 미용 브랜드 운영
  • 주요 브랜드: 코레나(COLENA), 미웰(MIWELL)

바이오비쥬는 설립 초기부터 파마리서치, 대웅제약, 메디톡스 등과의 협약을 통해 의료기기 및 의약품 유통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이후 자체 브랜드를 런칭하고 제조공장을 구축하여 수출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을 확립하였습니다.


핵심 기술 및 사업 영역

1. 의료기기 및 화장품 제조

  • 제조시설: GMP 수준의 제조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ISO13485:2016 및 ISO9001:2015 인증을 취득하였습니다.
  • 제품군: 필러, 스킨부스터 등 메디컬 에스테틱 제품과 미용 화장품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 기술 협력: 엑소코바이오와의 협약을 통해 재생 에스테틱 제품인 ASCE+의 중국 진출을 추진하였습니다.

바이오비쥬 제조시설

2. 글로벌 수출 및 유통

  • 수출 실적: 2020년 500만 불 수출의 탑, 2023년 1,000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습니다.
  • 전략적 제휴: 무진메디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차세대 의료기기인 LNP필러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최근 실적 및 재무 현황 (2024년 기준)

  • 매출액: 약 210억 원
  • 자본금: 17억 9,000만 원
  • 직원 수: 45명
  • 평균 연봉: 약 3,929만

바이오비쥬는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수출 확대와 신제품 개발을 통해 매출 증대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주요 주주 및 지분 구조

  • 청담글로벌그룹: 지배회사로서 바이오비쥬의 경영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 기타 주주: 상장 이후 일반 투자자 및 기관 투자자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청담글로벌그룹의 계열사로서 그룹 내 시너지 효과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경쟁사 비교

기업명 / 주요 제품군 / 비고

 

바이오비쥬 필러, 스킨부스터 등 자체 브랜드 및 제조시설 보유
휴젤 보툴리눔 톡신, 필러 글로벌 시장에서 강한 입지 확보
메디톡스 보툴리눔 톡신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 보유
대웅제약 의약품, 의료기기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 보유
 

 

바이오비쥬는 자체 브랜드와 제조시설을 기반으로 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와 향후 주가 전망

  • 공모가: 9,100원
  • 상장일 주가: 상장 당일 주가가 공모가 대비 180% 상승 후 변동성이 크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5월20일 오전11시 상장 첫날 주가 현황

 

바이오비쥬는 상장 초기부터 높은 주가 상승률을 기록하였으며,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과와 신제품 출시 여부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예상됩니다.


향후 성장 포인트와 리스크

성장 포인트

  • 글로벌 시장 확대: 중국 및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을 통해 수출 확대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 신제품 개발: 차세대 의료기기 및 화장품 개발을 통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기술 협력: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기술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리스크

  • 시장 경쟁 심화: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에서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 규제 변화: 의료기기 및 화장품에 대한 국내외 규제 변화에 따른 대응이 필요합니다.

결론 및 투자의견

바이오비쥬는 메디컬 에스테틱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입니다. 자체 브랜드와 제조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략적 제휴를 통한 기술력 강화와 수출 확대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다만, 시장 경쟁 심화와 규제 변화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므로, 투자 시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신중한 판단이 요구됩니다.

반응형